지난 번 까지는 디자인 클리닝 서비스와 클리닝 서비스까지 얘기를 전개했다.
1-1.에듀케이션 서비스 (EDUCATION SERVICE : 교육 서비스)
아직까지는 위의 에듀케이션 서비스는 아직은 제대로 된 시도나 보편화 단계에 있는 서비스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.
약간은 상품을 판 기업측면에서보다는 그것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동호회 모임등에서,
즉 약간은 우회적인 곳에서 간헐적으로 시도된 바는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.
1-2.에듀케이션 서비스의 예:
위의 에듀케이션 서비스 부분에 가장 접목시키면 최대의 서비스효과를 누릴 수 있는 분야가,
바로 스마트폰과 스마트가전에 적용되면 가장 좋은 최상의 효과를 발휘하지 않을까 생각하는 바이다.
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에 오래 전 TV에서 보면, 스마트폰동호회모임인가 하는 소비자들끼리의 연합단체에서 자체적으로
전문스마트폰매니아들이 그 주축이 되어서,스마트폰 활용도의 극대화를 위한 교육을 하는 것을 잠시 언론보도를 통해서 본 것 같다.
즉,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의 구입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, 반대로 스마트폰회사들이 만들어 놓은 스마트폰자체의 각종 다양한 기능들의 습득을 통한
스마트폰의 능수능란한 사용 및 그 활용의 측면에서는 그만큼 취약할 수 박에 없다고 보는 바,
그리하여 오래전에 언론을 통해서 본 기억에 의하면,
스마트폰 전문매니아들이나 그 동호회모임의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,
일반스마트폰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그 다양한 활용법을 강의식으로 설명하는 것을 본 기억이 있다.
아직까지는 이러한 좀 더 소비자에게 직접 다가가는 듯한 서비스는,
아직 국내외적으로 어느 회사도 실시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,
만약 이와 같이 기업들이 단순히 그 상품만을 파는 요식적인 단순판매방식에서 벗어나서,
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든지 아니면 스마트폰이든지간에
만드는 회사측에서 소비자들에게 각 지역에 교육서비스센터를 두어,
그 기계(제품)의 다양하고도 실생활에 응용가능한 활용법도 동시설명하는 기업이 있다면,
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단순히 그 회사제품을 갖고 있다고 하는 만족감에서 벗어나서,
좀 더 고차원적인 다양한 활용법마저 익힌다면 그 회사(기업)에 대한 고객충성도는,
다른 경쟁기업들보다도 더 확연히 차별화될 것임은 두 말할 나위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바,
앞으로 우리 국내기업들은 이 에듀케이션 서비스(EDUCATION SERVICE: 제품 활용법 강좌 서비스)마케팅을
적극 활용해 주십사하고 간곡히 부탁드리는 바입니다.,